얼마 전 지인이 건강검진으로 위 내시경을 받고 헬리코박터균이 발견되어 제균치료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사실 진작에 제균치료를 했어야 하는데 지방간 수치가 높아서 치료를 미뤄왔던 터라 이번엔 반드시 치료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경험을 토대로 헬리터 박터균의 발생 원인과 방치 시 발생하는 문제에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헬리코 박터균은 위 점막에 주로 서식하는 박테리아로, 위 점막과 점액 사이에 기생하는 나선형 모양의 세균입니다. 방치하면 위염, 십이지장궤양, 위암 등을일으킬 수 있는 원인균입니다.
보통 위안에서 섭취한 음식의 소화를 돕는 위산의 강한 산성으로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없는 환경인데이 헬리코박터균은 스스로 ‘우레아제’라는 효소를 만들고, 이것이 위 점막의 일부 요소를 분해하여 암모니아화 하게 한다고 합니다.
이 때 알카리성인 암모니아가 주위 환경을 중화시켜서 헬리코박터균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위산의 강한 산성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한다고 합니다. 헬리코박터균은 전세계 인구 반 이상의 감염률을 보일 정도로 흔하지만 그것이 지닌 위험 인자에 대해 간과하기 쉽습니다.
1994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헬리코박터균이 위암을 일으키는 발암인자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소홀히 여기지 말아야 합니다. 가족력이 있거나 만성위염 또는 십이지장궤양을 앓았던 경험이 있다면 더욱 신경써야 할 문제입니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경로는 정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지만 주로 입안의 침을 통해 전염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음 감염 경로를 살펴보겠습니다.
보통 헬리코박터균이 감염되어도 대부분 자가 증상이 없어 별도의 검사를 통하지 않고는 발견하기 어렵습니다.
1)위염 및 십이지장궤양
헬리코박터균 감염으로 인해 위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고, 속쓰림, 메스꺼움, 구토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만성 위염 또는십이지장궤양 등 위점막에 손상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2)위암
위 점막의 손상이 있고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면 위암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반드시 제균치료를 해야 합니다.
항생제와 위산 분비 억제제를 복합하여 사용하며, 복용기간은 2주 정도 연속하여 복용하고 재검을 통
해 제균여부를 확인합니다. 재검 시 제균이 이루어지지 않게되면 2차 치료를 해야하고, 검사결과 제균
이 된 것으로 보여도 상황에 따라 정확한 검사를 위해 위 내시경을 다시 받아볼 수도 있습니다.